/ /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대구·경북에서 벌어지는 강제 정신병원 입원 이게 정말 가능한 일일까요 / 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humbnail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구·경북에서 벌어지는 강제 정신병원 입원 이게 정말 가능한 일일까요

by 정보리뉴얼 2025. 7. 1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대구·경북 지역에서 조금 충격적인 소식이 들려오고 있어요.

바로 가족 동의나 본인 의사 없이도 경찰이나 의사 판단만으로 정신병원에 강제로 입원될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요. “설마 그게 말이 돼?” 싶지만, 실제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1. 첫번째 이슈 ;

“최근 대구·경북에서 가족 동의 없이 경찰·의사 판단만으로 강제 입원되는 사례

한 시민분은 자다가 새벽에 경찰이 갑자기 찾아와 속옷 차림으로 끌려갔다고 해요.

병원에 도착해서는 수갑과 결박까지 당했고, 억지로 약도 맞았다고 합니다.

결국 5일 동안 이유도 모른 채 입원해 있었고, 퇴원 후에는 경찰의 과잉 진압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답니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정말 소름이 돋지 않을 수 없죠?

저 혼자 버티긴 벅차요…”

실제 강제입원 피해자의 절규

여러분, 이 글을 꼭 한 번 읽어봐 주세요.

최근 대구·경북에서 강제 정신병원 입원 논란이 커지고 있는데,

실제로 이런 피해를 겪은 분의 생생한 목소리입니다.

 

“약기운에 너무 두서없이 글 씁니다.

저는 현재 자다가 갑자기 강제입원된 상태입니다.

경찰이 새벽에 왔다가 자살 신고가 들어왔다며 신변에 문제가 하나도 없는 걸 확인하고 나서 갔는데,

몇 시간 뒤 또 신고가 들어왔다며, 친구/가족이 오고 있는데도 욕설하고 신고가 됐다는 이유만으로 입원시키더라구요.

자다가 잠옷 차림으로 박스티 입고 하의는 입지도 않았는데 남자 파출소 출동한 사람이 '바지 입으세요?'라며 묻고,

고이고 있던 이불을 들춰 주변 경찰관들도 다 보고 너무 수치심을 느꼈습니다.

수갑까지 채우고 목요일부터 5일째 강제입원 중입니다.

강제입원 당한 후 결박까지 됐고, 월요일에나 퇴원 예정입니다.

지금도 약기운에 정신이 없네요.

대구 서부남부파출소 직원들이었고, 퇴원 후 꼭 처벌하고 싶습니다.

부디 국민신문고에 한 번씩이라도 글 써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저 혼자 버티기 벅차요…”

이 글을 읽다 보면,

정말 남의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누구나 갑자기 이런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그 안에서 느끼는 수치심, 두려움, 억울함이 고스란히 전해집니다.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

이런 일이 내 가족, 내 이웃, 혹은 나에게도 벌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절대 가볍게 넘길 수 없습니다.

법과 제도의 허점, 그리고 인권 보호의 중요성에 대해

우리 모두가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때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이 글이 널리 퍼질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주세요.

 

왜 이런 일이 가능해졌을까요?

과거에는 정신병원 입원 시 가족 동의나 본인의 의사가 꼭 필요했는데,

최근 법이 바뀌면서 경찰이나 의사 판단만으로도 최대 3일간 강제 입원이 가능해졌다고 해요.

이게 바로 문제의 핵심입니다. 기본권이 침해될 수 있는 위험이 커졌다는 거죠.

2. 두번째 이슈 (더 무서운 소식) ;

8월부터는 가족이 없는 뇌사자도 본인이 장기 기증 의사를 밝히면, 가족 동의 없이 장기 기증이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혼자 사는 분들이나 가족과 연락이 끊긴 분들에게는 좋은 소식일 수도 있지만,

“혹시 악용되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도 커지고 있어요.

 

3. 두 가지 이슈는 모두

  • “가족 동의 없이”
  • “본인 의사나 의사(doctor) 판단만으로”
  • 중대한 결정이 내려질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 강제 입원과 장기 기증은 각각 별도의 법적·사회적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4.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

이런 법과 제도는 분명 장기 기증 활성화나 정신질환자 보호라는 좋은 취지에서 만들어졌겠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인권 침해와 과잉 진압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어요.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문제입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9000800530?input=cop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