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정보784 신용카드 결제일을 14일하고 카드사 혜택 받자 신용카드는 한 달 동안 쓴 금액이 다음 달 결제일에 빠져나갑니다. 그래서 보통은 11월 한 달 동안 쓴 금액이 12월에 빠져나간다고 생각하시잖아요. 그런데 내 신용카드의 결제일이 언제인지에 따라서 빠져나가는 금액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카드사의 혜택을 최대로 받으면서 현명하게 소비할 수 있는 신용카드 쓰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의 경우 월급이 들어오고 난 뒤 바로 카드값이 빠져나갈 수 있게 신용카드 결제일을 20일에서 25일 사이로 설정해 두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신용카드를 쓰는 이유는 다양한 혜택 때문이기도 한데요. 손해를 보지 않고 신용카드의 혜택을 모두 누리기 위해서 카드결제일을 며칠로 설정하는지가 정말 중요합니다. 카드 결제일마다 카드값이 청구되는 이용.. 2024. 1. 2. 24년 서울시 바뀌는 것들 2024년부터 우리 일상에서 사라지거나 또는 바뀌는 일곱 가지를 준비해 봤는데요. 물론 좋은 소식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소식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2024년부터 달라진다는 점을 기억해 주시고 미리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심야 자율주행 버스 운행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차량을 자율 주행 차량이라고 하죠. 근대 영화 속에서나 가능했던 기술이 내년부터 현실화될 것 같습니다. 바로 서울 심야 자율주행버스가 서울시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심야자율주행버스란, 저녁 늦게 대중교통이 끊기고 택시도 잡기 어려운 심야 시간에 자율주행 기술로 버스를 운영 운영 심야 자율주행 버스는 합정역에서 동대문역까지 9.8킬로 구간을 밤 11 시 반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 다니는데요.. 2024. 1. 1. 어르신 효도지팡이 올바른 사용법 어르신들의 건강 상황에 따라 잘 맞는 지팡이가 따로 있다고 합니다. 보기에 좋다고 화려한 등산 스틱을 찾아보셨던 분들도 계실텐데 절대 그러시면 안된다고 합니다. 지팡이는 복지용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국가에서 지원하는 급여로 혜택을 받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지팡이의 종류 지팡이별로 사용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지팡이가 있습니다. 일 자형 지팡이 (T 자형 지팡이 ) 몸 상태가 가볍고, 경증인 분들, 걷는 데 그렇게 큰 지장이 없으신 분들이지만 균형이 힘드신 분들은 어르신 효도지팡이 올바른 사용법 사발형 지팡이 몸 상태가 좀 더 중증이시거나 보행이 어려우신 분들, 밖으로 나가서 오랫동안 걷기 힘드신 분들, 재활을 하고 계시는 분들 장소별 사용 지팡이 일자형 지팡이 ; 실외에서 사용하시는 걸 강.. 2023. 12. 31. 겨울철 재난 안정 위험요인 집중신고 안전신문고 겨울철이 되면서 여러 가지 위험 요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꽁꽁 얼어붙은 도로나 눈이 쌓인 계단 등은 잘못하면 큰 사고로 이어지기도 하는데요. 이런 위험한 상황을 신고하면, 20만 원에서 최대 100만 원까지 포상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몰라서 못 받는 복지 혜택 이젠 놓치지 말고 꼭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 행정안전부는 겨울철 재난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겨울철 재난안전위험요인 집중 신고 기간을 12월 8일부터 내년 2월 29일까지 석 달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안전신문고는 국민 누구나 생활 주변의 재난 안전 위험 요인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신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누리집과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데요. 작년 5월 안전신문고를 통해 한 대형마트.. 2023. 12. 30. 대학생 기숙사와 창업을 1년간 무료로 지원해주는 창업기숙사 학비만큼이나 주거비 많이 부담되시죠. 일찍부터 창업을 고려하고 있다면 혹은 이미 창업 중이라면 1년간 무료로 주거와 창업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창업 기숙사에 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창업기숙사란 창업에 관심 있는 대학생들이 창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주거와 창업을 동시에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창업 기숙사 지원 안내 학비만큼이나 주거비 많이 부담되시죠. 창업에 관심 있는 대학생들이 주거와 창업을 동시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1년간 무료로 주거와 창업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공공요금 등 실비는 부담하셔야 됩니다. 신청 대상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셔야 합니다. 첫번째 대한민국 국적 소재자이면서 국내 소재 대학 또는 대학원의 재학 또는 휴학 중이어야 합니다. 두 번째 조건은 창.. 2023. 12. 29. 서울시 저소득 안심소득 지원 신청방법 서울특별시에서 저소득층을 위한 안심소득 지원을 한다고 합니다. 어떻게 받을 수 있으며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신청하는 방법까지 간당히 포스팅 올려보겠습니다. 안심소득이란, 기준소득 대비 부족한 가계소득의 절반을 현금으로 채워주는 소득보장제도의 일종 안심소득이 일정 부분의 소득 금액을 정해놓고 모자른 생계비를 현금으로 지원해 준다고 합니다. 지원받을 수 있는 신청 대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청 대상 서울시에 거주자,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청년과 저소득 위기 가구가 신청 대상입니다. 소득 기준 50% 이하셔야 하고 총 재산 3억 2600만 원 이하셔야 하고 총 500가구를 선정해서 1년간 소득금액을 지원합니다. 참여기준 기준 중위소득 50%이하, 재산 326백만원 이하인 가구 가족돌봄청(소).. 2023. 12. 28. 24년 달라지는 병원비 줄여주는 재난적 의료비 소비지원제도 재산 기준은 과세표준액 7억 원 이하 최대 기준 중위소득 200%까지 4 인 가구 기준으로 하면 월 소득 1140 만 원 인 고소득 가구까지도 해당 정부의 의료비 지원 제도를 소개해 드릴려고 합니다. 내년부터는 의룝; 소비지원 제도가 훨씬 더 좋아진다고 합니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항목들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되는 비급여 항목하고 전액 본인 부담금 선별급여 65세 이상 임플란트 병원 2, 3 인실 입원용 추나 요법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내년부터 달라지는 병원비 걱정 줄여주는 의료비 소비 지원 제도를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아픈 곳이 늘어나 병원에 가는 일이 잦아지면서 병원비 걱정되시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 분들에게 내년부터 재난적 의료비 지원제도 기준이 크게 확대됩니다. 재난.. 2023. 12. 25. 케이패스 도입 전에 이용할 수 있는 알뜰 교통카드 제도 오늘은 매월 지출하는 고정 비용 중 하나를 20%에서 절반까지 줄일 수 있는 복지 제도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의 일상에서 고정적으로 지출할 수밖에 없는 비용이 있습니다. 밥을 먹거나 차를 타거나 휴대폰을 사용하는 등 살아가면서 어쩔 수 없이 지출할 수 있는 것들은 줄이고 싶어도 쉽게 줄일 수가 없습니다. 특히 대중교통은 출퇴근을 하거나 등하교를 할 때 어디로 이동을 할 때 꼭 이용할 수밖에 없고 한 번 사용할 때는 1000원 2000원 정도의 작은 금액 같지만 한 달을 사용하면 정말 큰 금액이 되어 있기도 하죠. 이 금액을 줄일 수 있는 복지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알뜰 교통카드인데요. 이 알뜰 교통카드는 내년 하반기에 케이패스라는 대중교통비 환급제도로 새롭게 탈바꿈될 예정입니다. 알뜰교통카드란? .. 2023. 12. 24.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9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