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진짜 한국 언론은 왜 편향됐나? 언론노조와 미디어 개혁 이야기 / 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humbnail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정보

진짜 한국 언론은 왜 편향됐나? 언론노조와 미디어 개혁 이야기

by 정보리뉴얼 2025. 8. 4.
728x90
반응형

지난주 저녁, 평소와 다름없는 일상 속에서 가족들과 함께 뉴스를 보고 있었다. “왜 요즘 뉴스는 한 쪽 주장만 반복하는 것 같지?” 라는 아버지의 한마디에 거실의 공기가 잠시 멈췄다. 오랜만에 가족 모두가 함께 보는 뉴스였지만, 기사의 흐름과 톤, 사용되는 단어까지 자연스레 특정 관점만을 강조하는 듯 느껴졌다. 딸기잼을 바르는 손길만큼이나 익숙해진 언론의 편향성. ‘정말 대한민국 언론은 한 쪽으로 기울어져 있을까?’ 라는 궁금증이 가슴속에서 꿈틀대기 시작했다.

그날 밤, 나는 궁금증을 풀기 위해 인터넷을 뒤졌고, ‘언론 편향’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와 사례를 만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발견한 충격적인 사실들―특정 집단의 영향력, 정책의 변화, 해외 자본의 개입 등―이 이 글의 서두에 놓여 있다. 이 글을 통해 독자 역시 대한민국 언론 편향의 실체와 이에 대항할 수 있는 시민의 역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길 바란다.

언론 편향, 그 시작은 어디서부터일까?

언론은 민주사회의 ‘창과 방패’다. 국민은 뉴스를 통해 사회를 바라보고, 미디어는 정보 교환과 비판의 장이 된다. 하지만 그 미디어가 한 쪽에 치우친다면, 국민의 눈과 귀 역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최근 여러 조사와 자료는 한국 언론의 구조적 좌편향을 지적한다. 그 중심에는 ‘전국 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이 있다. 이 조직은 한국 최대 언론인 집단으로, 131개 주요 언론사에 뿌리를 내리고 무려 15,000명이 넘는 조합원이 속해 있다. 언론노조는 민주노총 산하 ‘극좌’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며, 방송 편성, 뉴스 제작, 인사권 등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노조의 영향력은 단순한 내부 조직력에 그치지 않는다. 더불어민주당 등 특정 정치 세력과의 긴밀한 연결고리, 그리고 대외적 정책 결정 과정까지 뻗쳐 있다. 일각에서는 이 거대한 조직력을 ‘언론 카르텔’이라 부르기도 한다. 내부 이익과 신념을 관철하기 위해 폐쇄적 결집과 집단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의미다.

 
 

구체적인 언론 편향 현상, 사례로 살펴보자

1.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과 기사 작성 태도

많은 언론이 ‘답을 정해놓고’ 기사를 작성한다는 비판이 있다. 즉, 자신의 성향과 부합하는 자료는 확대 보도하고, 반대 입장은 무시하거나 축소 보도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같은 사건을 두고도 언론사에 따라 ‘국익 챙긴 외교 성공’ 또는 ‘실패한 외교전’으로 다르게 해석된다. 이는 소비자가 다양한 관점을 얻기 어렵게 만들며, 사회적 분열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2. 인사권 행사와 보직 배제

편향의 또 다른 실체는 ‘인사권’에 있다. 대표적으로 YTN에서는 정권 교체 후 노조가 인사권에 개입, 보수 성향 메인앵커를 기자직으로 강등시키고 한직에 발령냈다. 한 지역 민방 아나운서는 노조 미가입, 촛불시위 불참 등을 이유로 보직에서 배제된 뒤 퇴사까지 경험해야 했다. 이는 ‘성향’이 다르면 배제하는 구조가 이미 조직 전반에 내재된 것임을 시사한다.

3. 방송 3법 개정 시도

방송법·방송문화진흥법·교육방송법 개정을 통해 국회, 진보단체, 극좌성향 NGO 등이 KBS, 방송문화진흥회, EBS의 이사 추천권을 행사하게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는 공영방송 이사회의 정치적 지배력 강화를 목적으로, 결과적으로 한쪽 세력의 방송 장악을 노린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4. 자본과 해외 영향력

중앙일보와 JTBC를 지배하는 중앙홀딩스(홍석현 일가)는 중국 최대 IT기업 텐센트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받았다. 이로 인해 ‘친중 행보’ 논란이 불거졌다. 텐센트는 SM, YG, JYP 등 주요 K팝 연예기획사에도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문화 공정'―즉 콘텐츠의 좌편향, 친중화를 유도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해석도 있다.

5. 포털 사이트의 영향

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포털(네이버, 다음) 역시 편향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포털이 메인 화면에 좌편향 기사를 올리며 여론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이는 '인지전'(Cognitive Warfare)의 대표적 수법으로, 대중의 인식과 행동을 특정 집단 의도대로 유도하고자 하는 심리전의 일종이다.

언론 편향의 사상적 배경: 그람시의 ‘진지전’과 마오쩌둥의 ‘3단계 혁명론’

이 배경엔 이데올로기 전략이 숨겨져 있다. 그람시는 사회 각계(언론, 학계, 문화 등)에 이념적 ‘진지’를 구축한 뒤, 때가 오면 전면적 체제 전환을 도모하는 ‘진지전’ 이론을 제시했다. 마오쩌둥의 ‘3단계 혁명론’도 비슷하다. 약할 때 잠복(1단계), 힘을 키워 부분공세(2단계), 세력이 커지면 전면공세(3단계). 현재 한국 언론의 구조를 ‘이미 전면 공세 단계’라고 진단하는 견해마저 있다.

★국민과 기업의 대응 방안

언론 편향이 구조적으로 고착화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할까? 자료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 행동수칙을 제안한다.

  • 좌편향 언론 기사 시청·열람·클릭을 자제한다.
  • 소비를 줄이면 언론의 광고수익과 영향력 자체가 약화된다.
  • 기업들은 편향된 언론 및 포털에 광고 게재를 중단한다.
  • 경제적 압박을 통해 편파 구조를 바꿀 수 있다.
  • 다양한 관점의 뉴스를 직접 찾아보고, 스스로 비판적으로 판단하는 습관을 갖는다.
  • 알고리즘에 휘둘리지 않고 ‘생각하는 시민’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는 어떤 시각으로 이 뉴스를 바라볼 것인가?’ 우리는 스스로 묻고 답해야 한다. 편향을 이겨내는 힘은 결국 ‘비판적 시민의식과 건강한 미디어 사용 습관’에 있다. 강 건너 불구경하지 말고, 우리 모두의 삶을 지키는 감시자가 되는 것, 거기서 변화가 시작된다.

https://youtu.be/OGRmc_g-Kfk?list=TLGGsU39hxpMz84wMzA4MjAyNQ

 

댓글